
주식 투자에서 수익을 얻었다면 반드시 세금 문제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.
오늘은 국내와 해외 주식에서 발생한 수익에 대해 내야 하는 양도소득세와 종합소득세에 대해 알아보고, 절세할 수 있는 방법까지 정리하겠습니다.
1️⃣ 양도소득세란?
양도소득세 기본 개념
양도소득세는 주식을 매도해 발생한 차익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입니다.
국내 주식 양도소득세
대상: 코스피, 코스닥 종목 중 연간 5000만원 이상의 금융투자 소득을 얻은 자
세율: 양도차익의 22% (지방소득세 포함 시 22%)
신고 기간: 다음 해 5월 종합소득세 신고 시 제출
해외 주식 양도소득세
대상: 모든 해외 주식 매매 차익
세율: 양도차익의 22% (지방소득세 포함 시 22%)
기본 공제: 연간 250만 원까지 비과세
신고 기간: 다음 해 5월 종합소득세 신고 시 제출
✅ 예시:
해외 주식 투자로 1,000만 원의 수익 발생 시 → (1,000만 원 - 250만 원) × 22% = 165만 원 세금 부과
2️⃣ 종합소득세란?
종합소득세 기본 개념
종합소득세는 배당소득, 이자소득, 사업소득 등 여러 소득을 합산하여 부과하는 세금입니다.
배당소득세
국내 배당: 15.4% 원천징수 (지방소득세 포함)
해외 배당: 국가별 원천징수 후 추가로 종합소득세 신고 (22%)
신고 방법
연간 배당소득 2,000만 원 초과 시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
종합소득세는 매년 5월에 신고 및 납부
3️⃣ 절세 방법
국내 주식 절세 방법
장기투자: 대주주가 아닌 경우 양도소득세 면제
ISA 계좌 활용: 비과세 및 저율 과세 혜택
연금저축 계좌 활용: 소득공제 혜택
해외 주식 절세 방법
기본 공제 250만 원 활용
손실과익 상계: 손실 종목과 이익 종목을 함께 매도하여 과세 대상 금액 줄이기
ISA 계좌에서 해외 주식 ETF 거래
배당소득 절세 방법
배당성장 ETF 투자: 배당 소득을 자동 재투자하는 ETF 활용
연금계좌에서 배당주 투자
4️⃣ 세금 신고 팁
종합소득세는 매년 5월에 반드시 신고
해외 주식 수익은 홈택스에서 직접 신고해야 함
하지만 증권사에서 대리 신고도 할 수 있으니 사용중인 증권사 세금 신고 대리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좋음
5️⃣ 결론 – 투자와 세금은 함께 간다
투자에서 수익을 내는 것만큼 중요한 것이 세금 계획입니다. 절세 방법을 잘 활용하면 수익률을 더 높일 수 있습니다.
'0부터 시작하는 주식 공부 > 스타트 단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📌 [0부터 시작하는 주식 공부] 16편 – 공시 자료 분석: 투자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정보 (0) | 2025.03.04 |
---|---|
📌 [0부터 시작하는 주식 공부] 15편 – 해외 주식 투자: ADR과 환율 리스크 이해하기 (0) | 2025.03.04 |
📌 [0부터 시작하는 주식 공부] 13편 – 보조지표란 무엇인가? (0) | 2025.03.04 |
📌 [0부터 시작하는 주식 공부] 12편 – 배당주 투자와 배당 성장주 (0) | 2025.03.04 |
📌 [0부터 시작하는 주식 공부] 11편 – 공매도와 레버리지: 상승장과 하락장에서의 투자 전략 (0) | 2025.03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