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주식시장은 항상 상승하지 않습니다. 때로는 하락장이 찾아오고, 이때 수익을 낼 수 있는 전략이 바로 공매도와 레버리지 투자입니다.
오늘은 이 두 가지 방법을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.
1️⃣ 공매도(Short Selling)란 무엇인가?
📌 공매도의 기본 개념
공매도는 주가가 하락할 때 수익을 내는 투자 방식입니다.
투자자는 주식을 빌려서 시장에서 판 후, 나중에 주가가 더 낮아지면 다시 사서 갚고 차익을 얻습니다.
💡 공매도의 흐름
1.증권사에서 주식을 빌림
2.빌린 주식을 현재 시장 가격에 판매
3.주가가 하락하면 낮은 가격에 다시 매수
4.매수한 주식을 증권사에 돌려줌
5.차익(판매가 – 매수가)을 수익으로 얻음
✅ 예시:
현재 A기업 주가: 10만 원
공매도로 10만 원에 판매
이후 주가가 7만 원으로 하락 → 7만 원에 매수
3만 원 차익 실현
📌 공매도의 위험성
주가가 상승하면 손실이 무한대로 커질 수 있음
개인투자자에게는 접근이 어려움
과도한 공매도는 주가 하락을 부추길 수 있음
2️⃣ 레버리지(Leverage) 투자란 무엇인가?
📌 레버리지의 기본 개념
레버리지는 돈을 빌려 투자하는 방식입니다. 적은 자본으로 더 큰 금액을 투자할 수 있도록 하며, 수익과 손실 모두 크게 늘어납니다.
레버리지 ETF 예시
KODEX 레버리지 ETF: 코스피 200 지수의 2배 수익률을 목표로 함
SPXL ETF: 미국 S&P 500 지수의 3배 수익률을 목표로 함
💡 레버리지의 원리
상승장에서는 수익률이 2배, 3배 커짐
하지만 하락장에서는 손실도 동일 비율로 커짐
✅ 예시:
원래 주가 상승률: +10%
레버리지 2배 ETF 수익률: +20%
원래 주가 하락률: -10%
레버리지 2배 ETF 손실률: -20%
📌 레버리지 투자 주의사항
장기투자에는 적합하지 않음 (가격 괴리 발생)
시장 방향성을 정확히 예측해야 함
손실 폭이 크므로 신중한 투자 필요
3️⃣ 상승장과 하락장에서의 전략
시장 상황
|
추천 전략
|
설명
|
상승장
|
레버리지 ETF
|
상승폭을 극대화
|
하락장
|
공매도 혹은 인버스 ETF
|
하락장에서 수익
|
박스권 장세
|
배당주 투자
|
안정적인 수익 확보
|
4️⃣ 결론 – 언제,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?
✔ 공매도: 하락장이 예상될 때 단기적으로 활용
✔ 레버리지: 강력한 상승장이 예상될 때 단기적으로 활용
✔ 박스권이나 장기투자에는 배당주나 ETF가 더 적합
'0부터 시작하는 주식 공부 > 스타트 단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📌 [0부터 시작하는 주식 공부] 13편 – 보조지표란 무엇인가? (0) | 2025.03.04 |
---|---|
📌 [0부터 시작하는 주식 공부] 12편 – 배당주 투자와 배당 성장주 (0) | 2025.03.04 |
📌 [0부터 시작하는 주식 공부] 10편 – 경제지표와 주가의 관계 (0) | 2025.03.04 |
📌 [0부터 시작하는 주식 공부] 9편 – 분산 투자 vs 집중 투자 (MDD 개념 포함) (0) | 2025.03.04 |
📌 [0부터 시작하는 주식 공부] 8편 – ETF란 무엇인가? (대표 ETF 및 수수료 개념 정리) (0) | 2025.03.04 |